-
Mac에 UTM이용한 Window 가상머신 Setting개념 Self Study📝/알고가자 2024. 3. 18. 22:12
1. 개요
- Mac M1 Pro를 사용하는 필자는 현업에서 Window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어 C#개발에 한계를 느껴 가상머신 UTM을 이용하여 개발하고자 하여 가상머신을 이용해서 Window를 사용하고자 한다.
2. 세팅 단계
1) 해당 화면에서 새 가상머신 만들기를 클릭한다.
2) Virtualize부분을 클릭한다.
3) Window 운영체제를 통해서 세팅을 할것이기에 Windows를 클릭한다.
4) 해당 화면에서 Import VHDX Image를 체크하고 ISO Image에 VHDX파일을 적용한다.
*VHDX파일을 다운로드 받기위한 블로그 및 상세 설명은 아래의 블로그와 같다
https://wscode.tistory.com/103
5) 공유폴더 설정은 추후에도 가능하니까 넘어가도록 하겠다.
6) 추후 설정에 대해서는 각자 원하는 스펙을 설정해주면 되겠다.
7) Window가 세팅이 된 후 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 것을 알 수 있다.
- 해당 부분에서는 Wifi를 연결을 해야하는데 이는 초기 인터넷 설정이 되어있지 않다 보니, 인터넷 접속이 안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. 그래서 위에서 "SPICE TOOl"를 설치했어야했다.
- Fn + shift + F10키를 눌러서 CMD창을 띄어줍니다.
- 이에 taskmgr을 입력해서 작업관리자 창을 띄웁니다.
8)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고 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.
3. 한글 세팅
- 초기에는 한글 적용이 안되어서 따로 설정을 해주어야한다.
Settings -> Time & language -> Korean -> Language options을 통해 Korean을 추가해준다.
- controlpanel -> clock and region -> Region-Change date time or number formats-> Adminstrative -> Change Change locale -> korean을 세팅한 후 수정해준다.
Setting이 완료 된 후 Shift+Space Bar 를 이용해서 한/영을 변경해준다.위 블로그를 들어가 참고해준다.
4. 출처
https://wscode.tistory.com/103
'개념 Self Study📝 > 알고가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명령어 별 어떤 구조인가? (3) 2024.11.08 알지만 넘어간 Git 명령어는? (2) 2024.10.04 static 변수? static 함수? (1) 2024.01.08 메모리의 구조 및 C# 데이터 형식 (0) 2023.07.25 생성자 정리 (0) 2023.07.13